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덕원동탄선이 어떤 노선인지, 어떤역에 정차하며 개통시기는 언제인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향후 교통의 요새가 될 예정인 인덕원과 삼성전자를 등에엎고 신도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동탄을 연결하는 인덕원동탄선에 대해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1. 인덕원동탄선 개요
인덕원동탄선은 인덕원을 시작점으로 하여 수원방향으로 뻗쳐나가 수도권 남부지역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37Km가 넘는 장거리 노선계획입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인덕원동탄선으로 부르고 있지만 국토교통부의 정식 명칭은 동탄인덕원선입니다.
2. 인덕원동탄선 노선도
인덕원동탄선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신안산선과 마찬가지로 중간에 지선을 가지고 있는 복선전철입니다. 인덕원역에서부터 동탄역을 연결하는 주 노선과 더불어 동탄선에서 서동탄역을 연결하는 지선이 생기는데, 이 지선의 의의는 1호선과 동탄역을 연결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먼저, 인덕원에서부터 동탄을 연결하는 주 노선의 역을 살펴보겠습니다. 안양시 인덕원역을 기점으로하여 얀양농수산물시장역과 호계역을 지나고, 의왕시로 넘어가 오전역, 고천역(의왕시청)을 정차한 다음 수원시/용인시의 파장역, 수원야구장역, 수원월드컵경기장역, 아주대입구역, 원천역, 흥덕역, 영통역, 서천역을 지나 화성시의 나노시티역, 능동역, 메타역, 동탄역에 정차하게 됩니다. 총 17개의 정거장으로 긴 편에 속하며 이 중 급행역은 인덕원역, 오전역, 수원월드컵경기장역, 영통역, 동탄역 5개의 정거장으로 급행이동시 매우 빠른 속도로 남북방향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게됩니다. (급행역은 진행경과에 따라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 주요하게 볼 부분은 환승역이 굉장이 많다는 점입니다. 인덕원역에서는 과천선, 경강선과 환승할수 있으며 수원야구장역에서는 수원1호선과, 수원월드컵경기장역에서는 신분당선과, 흥덕역에서는 용인에버라인과, 영통역에서는 수인분당선과, 동탄역에서는 SRT/GTX-A 노선/동탄도시철도/수도권내륙선과, 서동탄역에서는 1호선과 환승을 할 수 있어 다양한 노선과 연계가 되어 그 효용성이 굉장히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인덕원동탄선 개통시기
인덕원동탄선의 첫 제안은 2003년에 시작되었지만 용인시, 파주시, 안양시, 화성시 등 각 지자체가 이 노선을 본인 지역으로 끌어오고 싶어해 많은 요구가 있었으며 착공이 시작되지 못하고 오랜기간 연기되었던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는 2027년 11월 개통을 목표로 추진중에 있습니다.
4. 인덕원동탄선 용인시 흥덕역 핌피 논란
물론 많은 노선들이 역 신설 및 추가 정거장 요구로 인해 각종 논란거리가 있는데요, 인덕원동탄선은 특히 용인시의 흥덕역 추가에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기존 원안에는 아주대입구역, 원천역 다음에 바로 영통역으로 이어지는 노선이었는데, 원천역과 영통역 사이 원천저수지 방향으로 흥덕역을 추가해달라는 용인시의 요구사항이 있었습니다. 이는 그다지 큰 요구사항이 아니라고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기존 노선에서 코너링해서 들어가듯 반대 방향으로 2.2Km의 노선을 연장해야해서 막대한 건설비용 추가(약 1500억원)와 인덕원동탄선 표정속도의 지연(코너링으로 인해 약 5분 증가), 그로 인한 전동차 추가발주 등 어마어마한 사업비용 추가와 더불어 인덕원동탄선 착공 지연까지 야기하였습니다. 주된 사업성 지표로 1.0이 넘어야 하는 B/C값도 0.39로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요구가 있었으며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와 정부 예산 사용 또는 시 예산 사용을 둘러싼 대립 끝에 결국 인덕원동탄선에 흥덕역이 포함되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덕원동탄선의 개요, 노선도, 개통시기와 더불어 주요 논란에 대해서도 함께 다루어보았습니다. 수도권 전철 시리즈 중 3번째 포스팅이었는데요. 월판선, 신안산선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이전 포스팅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3.07.11 - [부동산] - 교통호재 : 신안산선 개요/노선도/개통시기 정리
2023.07.09 - [부동산] - 월판선 완전정리 : 개요/노선도/개통시기
2023.07.09 - [부동산] - GTX 노선정리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 D) 교통호재 분석
2023.07.06 - [부동산] - GTX 노선 정리 : GTX B 교통호재 분석
2023.07.05 - [부동산] - GTX 노선정리 : GTX C 교통호재 분석
2023.07.05 - [부동산] - GTX 노선 정리 : GTX A 교통호재 분석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 남구 생활권 파악 및 입지분석 - (1)생활권별 특징 (0) | 2023.07.13 |
---|---|
서해선 개요/노선도/개통시기 분석 (0) | 2023.07.12 |
교통호재 : 신안산선 개요/노선도/개통시기 정리 (0) | 2023.07.11 |
월판선 완전정리 : 개요/노선도/개통시기 (0) | 2023.07.09 |
GTX 노선정리 :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 D) 교통호재 분석 (0) | 2023.07.09 |